카타르시스 뜻 정확하게 알아보고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해봐요.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인 카타르시스에 대해 제대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카타르시스 사전적 의미(뜻)를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포털사이트 초록색 검색창 국어사전에서의 검색 결과에 따르면 카타르시스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카타르시스의 뜻과 사전적 의미
문학적인 관점 : 비극을 봄으로써 마음에 쌓여 있던 우울함, 불안감, 긴장감 따위가 해소되고 마음이 정화되는 일.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詩學>에서 비극이 관객에 미치는 중요 작용의 하나로 든 것이다.
심리적인 관점 : 정신 분석에서 마음속에 억압된 감정의 응어리를 언어나 행동을 통하여 외부에 표출함으로써 정신의 안정을 찾는 일. 심리 요법에 많이 이용한다.

사전적 의미를 통해서만으로는 카타르시스 개념을 이해하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카타르시스는 카타르시스란 (그리스어: katharsis) 그리스어로 ‘정화’를 뜻합니다. 본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인 <시학>을 통해 가장 먼저 사용된 언어로 비극이 관객에게 주는 효과를 설명한 데서 유래 되었습니다.
마음속에 쌓인 불안감, 우울감, 긴장감 등의 등어리진 감정이 풀리고 마음이 말끔히 정화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대체로 사람들은 카타르시스를 쾌감이나 희열, 전율 정도의 간단한 의미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카타르시스는 비극에서 비참한 모습이 해소된 이후에만 사용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표현입니다.

그러므로 희열, 쾌감, 전율과도 비슷한듯하지만 조금은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전율이라 표현해야 할 상황에 카타르시스라는 단어를 적용했을 때 그 표현은 정답일 수도 있고 오답일 수도 있습니다.
카타르시스 뜻 예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비극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인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키고 나아가 이러한 감정을 모두 전화해주는데 이러한 모든 과정을 카타르시스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카타르시스 뜻에 비추어 적절한 예시로 영화를 들어 보겠습니다. 소설 속 주인공이 힘든 고난과 역경의 과정을 거친 후, 성공이라는 행복한 엔딩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 때 느껴지는 ‘전율’ 혹은 ‘희열’의 감정이 바로 카타르시스입니다.
또한 영화 속 스토리의 권선징악을 통해 사람들에게 십년 묵은 체증이 내려가는 통쾌한 한 방으로 시청자들에게 대리 만족을 안겨주는 결말에서도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많은 인기에 힘 입었던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서 배우 김희애의 핵 사이다급의 통쾌한 복수극 역시 시청자에게 짜릿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했습니다. (카타르시스 넘치는 대사와 장면 장면들)
우리는 때론 힘든 일이 있거나 깊은 고민에 빠져 있을 때면 주변의 가까운 지인을 만나 속 마음을 털어놓거나 하소연을 하는 등 가볍고 무거운 대화를 나눕니다.
이 때는 굳이 상대방이 그 문제를 해결해주길 바라는 목적으로 대화를 나눈다기 보다는 단지 속에 있는 마음의 짐을 털어 놓음으로써 묵힌 감정을 배설하고 그 자체만으로 위안을 얻고자 함이 목적입니다.
이 역시 감정의 정화와 위안 등의 상태를 이루었으니, 카타르시스라고 표현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나름대로 이해하기 쉽도록 카타르시스 뜻을 정리 해봤습니다. 부디 이해하시는 도움이 되셨길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