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 뜻, 예시와 유래 알아보기

조삼모사 예시와 유래 알아보기

조삼모사 뜻 (朝三暮四)

<아침에 세개, 저녁에는 네개>라는 조삼모사 뜻 잔꾀로 남을 속이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당장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하고 급급해하는 어리석은 상황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잔술수나 잔꾀로 상대방을 현혹시키는 모습을 비유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침 조 (朝)
석 삼 (三)
저물 모 (暮)
넉 사 (四)

조삼모사 뜻
조삼모사 뜻에 대한 유래

중국의 전국시대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살았습니다. 원숭이를 무척이나 좋아했던 저공은 집에서 수십 마리의 원숭이를 길렀는데요. 시간이 날 때마다 원숭이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날아 줬답니다.

그런데 원숭이들이 점점 자라면서 먹이가 모자라기 시작했습니다. 저공은 가족들과 함께 먹을 양식을 줄여 가면서까지 원숭이들에게 음식을 나누어 주었지만 이마저도 충분치가 않았습니다.

형편이 넉넉치 않았던 저공은 고민이 되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식량이 전부 떨어지고 말겠어. 하지만 갑자기 먹이를 줄이겠다고 하면 원숭이들이 화를 낼텐데…”

한참을 궁리하던 저공은 그럴싸한 꾀를 떠올렸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 원숭이들을 모두 불러 모아놓고는 말했습니다.

“오늘부터 너희들에게 먹이를 주는 방법을 조금 바꾸려고 한다. 아침에는 도토리를 세 개, 저녁에는 네 개씩 주겠다. 괜찮겠느냐?”

예상대로 원숭이들은 펄펄 뛰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아침 식사로 도토리 세 개는 너무 부족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중국 송나라에서 유래된 조삼모사
중국의 저공과 원숭이와 이야기

“좋다. 그렇다면 아침에 네개, 저녁에 세 개는 어떻겠느냐?
아침으로 한 개를 더 받게될 테니 배불리 먹을 수 있을 것이다.”

원숭이들은 저공의 말을 듣고 뛸 듯이 기뻐했답니다. 하루 동안 받을 수 있는 도토리의 총 양은 동일한데, 당장 아침에 한 개 더 받을 수 있다는 것만을 생각한 것입니다.

조삼모사가 의미하는 바
간사한 꾀로 남을 속이고 농락함

저공이 여러마리의 원숭이를 속인 이야기에서 유래된 조삼모사라는 사자성어는 두가지 뜻으로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저공이 잔꾀를 부려 원숭이들을 속였던 것처럼 얕은 속임수를 쓰는 간교한 사람을 꾸짖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반대로 원숭이를 중심으로 생각해 볼 때, 어차피 하루에 주어진 도토리의 양은 동일한데 아침에 한 개 더 많이 받는게 좋은 줄로만 여기는 어리석음입니다.


이처럼 정확한 조삼모사 뜻 : 생각이 깊지 못하고 어리석은 사람에게 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잔꾀를 부리는 사람이나 어리석은 사람 모두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사자성어-조삼모사

조삼모사 예문

민수 : “엄마, 하루 용돈 900원은 너무 부족한데.. 조금만 올려주세요!”
엄마 : “좋아. 하루 1,000으로 인상해 줄께”
민수 : “겨우 100원이요?”
엄마 : “그렇다면 일주일에 7,000원은 어떻겠니?”
민수 : “정말요? 엄마. 너무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