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뜻 예시를 통해 개념잡기 :
평소 관심 분야이기는 하지만 직접 검색하지 않았던 나는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인해 현재 시청중인 영상으로 이끌려 왔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나 수학에서 흔히 사용됐던 용어인 ‘알고리즘’은 이제는 유튜브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쉽게 들어봤을 만한 단어가 되었습니다.
“네이버, 구글, 유튜브 등 유명 사이트의 노출 방식 알고리즘 프로세스를 이해해야 한다.” 는 등의 말을 한번쯤은 들어 보셨을텐데요. 알고리즘(Algorism)의 네이버 사전에 검색 결과시 확인할 수 있는 사전적 의미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알고리즘 사전적 의미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원하는 출력을 유도해 내는 ‘규칙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여러 단계의 유한 집합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에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산을 필요로 합니다.
상기 내용은 알고리즘 뜻 풀이는 네이버 국어사전에 나와 있는대로 그대로를 기재해 놓은 것입니다.

구글과 유튜브, 우리나라 최대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검색 노출의 알고리즘이 재조명되고 많이 언급됨에 따라 난해한 사전적 의미보다 알기 쉬운 알고리즘 뜻 풀이를 많이들 검색해 보게 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조금 더 이해가 수월하도록 쉬운 예시를 들어가며 천천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고리즘(Algorithm)의 어원과 유래
먼저 알고리즘이란(algorithm), 이미 오래 전부터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9세기 당대 최대 과학자인 페르시아의 무하마드 알콰리미즈(Abbu Ja’far Mohammed ibn Musa al Khowarrizimi)의 이름을 라틴어화한데서 유래 되었습니다. 컴퓨터를 움직이는 모든 프로그램은 정교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주 시청하는 유튜브 채널은 구독과 즐겨찾기를 통해 유튜브 메인 화면의 목록에 알아서 출력되지만, 전혀 알 수 없었던 흥미로워 보이는 영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추천 영상으로 뜨게 되면서 결국엔 시청하도록 유도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두고 ‘알고리즘에 의해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간택 당했다’ 라고 표현합니다. 추천 영상은 지금까지 시청했었던 관련 주제의 동영상과 과거에 시청했던 데이터(기록)를 바탕으로 추천되는 시스템입니다.
’알고리즘 뜻’ 개념 잡기
예컨대 청바지, 셔츠, 바지 등의 의류를 구매하기 위해 네이버 지식쇼핑 등의 사이트에서 브랜드 물품을 검색하고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는 경우 관심 품목 및 장바구니 등에 담아 놓습니다.
그러고 나서는 무심코 인터넷 등 웹서핑을 하다보면 내가 지금까지 관심있게 살펴봤던 상품과 연관된 상품들이 브라우저 하단이나 우측 사이드바나 인터넷 사이트에 광고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 처럼 알고리즘은 내 관심 기반을 전제로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송출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시기에 조금 더 수월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하기
더욱 쉬운 알고리즘 예시로 음료수 자판기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음료수 자판기를 통해 내가 원하는 음료를 뽑아 마시기 위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하게 됩니다.

- 지폐를 넣습니다.
- 마시고 싶은 음료수 버튼을 누릅니다.
- 하단의 배출구를 통해 선택한 음료수를 받습니다.
- 음료수 값에 비해 투입된 돈이 액수가 많을 경우, 잔돈을 받습니다.
이와 같이 마시고자 하는 음료수를 뽑기위해 필요한 절차와 일련의 진행 과정을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최대한 쉽게 알고리즘 뜻과 개념을 정리를 해봤는데요. 충분한 이해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