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벌 혹은 말벌에 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대처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민족 대명절 벌초와 성묘를 할 때면 가족 단위로 동참하는 경우가 많아 벌 쏘임이나 뱀에 물림 등의 안전사고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한국 소방청 통계 조사에 의하면 해마다 최대 100만여명의 사람들이 벌에 쏘여 응급실을 찾는다고 합니다.
특히 무더운 7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벌초와 성묘 등의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9월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7~9월 기간 동안의 벌쏘임 환자수는 전체 벌 쏘임 환자의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러한 벌 쏘임 사고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르는 등 벌에 의한 사건 사고가 해마다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추석을 앞둔 현 시점 벌(말벌)에 쏘였을때 발생하는 증상과 대처 가능한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 발생하는 이상 증상
- 아나팔락시스
- 통증
- 부풀어 오름
- 피부 두드러기
- 가렵거나 화끈거림
- 두통 및 어지러움증
- 구토·경련
- 호흡곤란
- 의식저하
- 쇼크
벌은 크게 꿀벌류와 말벌류로 구분됩니다. 먼저 꿀벌류(Anthophila, Bee)는 꿀벌과 호박벌 등이 있는데 성격이 온순하여 먼저 공격을 당하거나 주변의 이상 행동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인간에 공격성을 보이지 않는 편입니다.
하지만 말벌류(Vespinae)는 다릅니다. 장수말벌을 비롯해 털보말벌, 땅벌 등은 굉장히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육식성 곤충입니다.
먹이가 필요하면 언제든 동료 말벌들과 연합해 집단으로 양봉장 또는 다른 벌집을 습격하거나 공격하는 등의 공격성이 극도로 높은 편입니다.
특히 다른 벌을 물어죽이는가 하면 사람의 생명마저 위협하는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장수말벌은 말벌집 주변에서 약한 진동만 발생해도 수십마리의 말벌이 쏟아져 나오는 등 매우 예민한 반응을 보이므로 안전에 더욱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이 공격을 시작한 상황에서의 대처법
벌들이 공격을 시작했다면 머리와 목을 보호한 상태로 최소한 20m 이상 빠르게 뛰어서 도망쳐야 합니다.
꿀벌 쏘였을때 대처요령
꿀벌에 쏘였을 때는 피부에 벌침이 박혀 있는지 확인 후, 벌침이 남아있다면 제거하는게 좋습니다.
벌침 제거시 손이나 핀셋으로 잡아 빼내려다 보면 오히려 벌침이 더 깊숙히 박혀 독이 퍼질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와 같이 끝이 단단하고 평평한 도구를 활용해 긁어내듯 벌침을 제거합니다.
말벌에 쏘였을때 대처방법
말벌의 침은 꿀벌과는 다르게 침이 피부에 박히지 않으므로 제거할 수 있는 침이 없습니다.
말벌에 쏘이게 되면 처음에는 붓기만 하고 증상이 경미하다가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쇼크(아나필락시스)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벌 쏘였을때는 신속히 대피 후, 119에 신고하거나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 적절한 응급처방을 받아야합니다.
119가 도착하기 전 찬물에 소독을 하거나 아이스팩을 활용한 냉찜질로 독의 확산을 지연시키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말벌은 특히 색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입니다. 말벌의 천적인 곰, 담비, 오소리 등과 같은 포유 동물들이 지닌 짙은 갈색과 검정색 털을 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숲이나 산을 갈때면 어두운 계열의 옷을 입기 보다는 흰색 바탕의 옷을 입는 것이 좋고 특히 검은색 털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창이 넓은 밀짚모자를 쓰는 것도 말벌로부터 안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
향이 진한 화장품과 향수를 사용하는 경우 말벌의 공격성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초 전 주의사항
특히 장수말벌과 땅벌은 무덤가 주변의 풀숲에 무리지어 서식하고 있습니다.
벌초 시작 전 최소 5~10분 정도 주변을 면밀히 관찰해 벌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벌집이 있다면 119에 신고해 벌집을 제거한 후 벌초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벌초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유익한 추천 글
- 만성피로 증후군 자가진단 및 극복 위한 해결방법
- 발가락 각질 발뒤꿈치 갈라짐, 유형별 무좀 약 추천 제품
- 냉기를 배출해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쑥 효능 8가지
- 장염 증상 여름철·겨울철 비교 및 대처법